소변을 시원하게 볼 수 없고, 또 잘 나오지 않는 중년 남성이라면 전립선 문제를 의심해봐야 한다. 전립선은 방광과 요도 사이에 있는 기관으로 정액의 생성 및 정자의 생존과 활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또한 요도가 전립선 안쪽으로 지나가 배뇨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기온이 뚝 떨어지는 요즘 같은 시기에는 소변을 잘 못 보는 증상으로 비뇨의학과를 찾는 사람들이 증가한다.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비뇨의학과 육형동 교수에 따르면, 외래 환자 중 남성의 경우 대부분은 전립선 문제이고, 일부는 방광에 문제가 있다.
전립선 질환의 증상은 다양하다. 소변 줄기가 약해지고, 소변이 자주 마려우며, 야간에 소변을 보러 일어나거나, 소변을 참기 힘들고, 소변을 봐도 개운치가 않으며, 막상 소변을 보려고 하면 잘 나오지 않는다면 전립선 질환을 의심해 봐야 한다.
정상 성인의 전립선 무게는 약 20g 정도로 호두의 크기와 비슷하다. 전립선은 나이가 들수록 크기가 점점 커지는데 그 정도가 심해지면 전립선 내부를 지나는 요도를 좁아지게 만들어 각종 배뇨 증상을 일으키게 되는데 이것을 전립선 비대증이라고 한다.
전립선 비대증은 주로 40대 이후부터 서서히 시작되어 50대에는 50%, 60대에는 60%, 70대에는 70%의 남성에서 나타나는 매우 흔한 질환이다.
육형동 교수는 “배뇨 불편감으로 시작하는 초기 증상이 방광 내 소변이 다 비워지지 않는 상태로 진행하게 되면 소변의 정체로 인해 방광염이나 방광 내 결석이 생길 위험이 증가한다”며 “점차적으로 방광의 기능이 떨어지고 방광의 압력이 높아지면 신장에서 소변이 잘 못 내려오거나 역류하는 수신증 등의 이차적 증상이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전립선 비대증은 약물이나 수술이 주된 치료법이다. 전립선 비대증은 약물만으로 완치를 기대하기는 힘들다. 다만 소변을 보기가 불편하지 않고 방광의 기능을 떨어지지 않게 증상을 조절하는 것이 치료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전립선 비대증의 수술 적 치료는 전기 또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내시경으로 요도와 접한 전립선 내부를 잘라주는 것으로, 소변이 지나가는 길을 막고 있는 전립선을 잘라 소변이 다니는 길을 넓혀주는 것이.
육 교수는 “전통적으로는 수술의 시점을 약물 치료가 잘 듣지 않거나, 갑자기 소변을 전혀 못 보는 급성 요폐가 생기거나, 방광의 기능이 떨어지는 경우, 환자가 매일 약을 먹기 힘들어 할 때 수술적 치료를 고려하였지만 요즘은 방광의 기능을 잘 보존하기 위해 조기에 수술적 치료를 하는 것이 좋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