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집에서 건강 상 위급상황을 맞을 수 있다. 부모님이 급성 심장 정지 상태에 빠지면 어떻게 해야 하나.
급성 심장 정지는 심장활동이 심각하게 저하되거나 멈춘 상태를 말한다. 지난해 119구급대에 의해 병원으로 이송된 급성심장정지 환자는 3만 539명으로 10년 전보다 39.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심장 정지의 원인은 질병이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하며, 질병 중에는 심근경색, 심부전, 부정맥 등 심장의 기능부전으로 인한 것이 93% 이상이었다. 심장 정지 발생 장소는 가정이 대부분(45.3%)이었으며, 도로·고속도로(7.7%), 요양기관(7.6%), 구급차안(6.1%) 순으로 나타났다.
남자의 비율(64.0%)이 여자(35.9%)보다 높고, 연령이 높을 수록 발생률이 증가했다. 특히 70세 이상 노인의 발생률은 전체 발생의 약 50%로 매년 증가 추세에 있다.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와 소방청(청장 정문호)는 2006~2018년 구급대가 병원으로 이송한 급성심장정지 사례 의무기록을 조사한 결과를 27일 발표했다.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지난해 생존율은 8.6%, 뇌기능 회복률은 5.1%로 10년 전보다 각각 3.4배, 6.4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가 쓰러지거나 쓰러진 환자를 목격한 일반인이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경우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소생술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생존율은 약 1.9~3.3배, 뇌기능 회복률은 약 2.8~6.2배 높게 나타났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과 정문호 소방청장은 “급성심장정지 조사결과에서 보듯이 심폐소생술 실시여부는 환자의 생존율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친다"면서, "환자를 발견했을 때는 신속히 119에 신고하고, 일반인 심폐소생술을 늘리기 위해 지속적인 교육과 홍보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했다.